비동기 호출 - Callback, Promise, Async
비동기 호출이란 특정 코드의 연산이 끝날 때까지 실행을 멈추지 않고, 다음 코드를 먼저 실행하는 자바스크립트의 작동방식이다. 가령, 클라이언트가 서버에서 데이터를 요청한다고 해보자. 서버로 데이터를 요청하면 응답이 언제 올지는 명확히 알 수 없다. 요청을 보내놓고 무작정 기다리기보다 다른 코드를 실행하는 것이 나을 것이다.
1. 콜백(Callback)
setTimeout은 비동기 처리의 대표적 예시이다. 코드를 바로 실행하지 않고, 일정시간 만큼 기다린 다음에 실행한다. 여러 작업들을 비동기으로 실행하면서도 순서를 제어할 수 있다. 아래 코드는 비동기적으로 “A”, “B”, “C”를 일정한 순서대로 실행하는 예시이다. 다만 무수한 콜백은 코드 가독성 및 유지보수 측면에서 좋지 않으니 가급적 지양해야 한다.
const printString = (string, callback) => {
setTimeout(
() => {
console.log(string);
callback();
},
Math.floor(Math.random() * 100) + 1
)
}
const printAll = () => {
printString("A", () => {
printString("B", () => {
printString("C", () => {});
})
})
}
콜백을 사용하면서 바로 함수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지만, 예상과 다른 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함수가 실행되지 않고 오류가 출력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첫 번째 인자를 error, 마지막 인자를 data로 사용한다. Error Handling Design 예시를 보도록 하자.
const getDataFromFile = function(filePath, callback) {
fs.readFile(filePath, "utf8", (error, data) => {
if (error) callback(error, null);
else callback(null, data);
})
}
2. 프로미스(Promise)
비동기 함수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다보면 흔히 콜백지옥이라 부르는 상황에 빠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Promise나 Async를 사용하면 해결할 수 있다.
프로미스는 자바스크립트 비동기 처리에 사용되는 객체이다. 사용하기에 앞서 알아야 할 개념이 있다. 프로미스에는 3가지 상태 “대기, 이행, 실패” 가 있다.
대기(Pending): 비동기 로직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
이행(Fulfilled): 비동기 처리가 완료되어 프로미스가 Resolve값을 반환한 상태
실패(Rejected): 비동기 처리가 실패하거나 오류가 발생하여 Reject값을 반환한 상태
프로미스를 new Promise()
메서드로 호출하면 대기상태에 진입한다. 프로미스는 콜백함수를 인자로 받을 수 있으며, 콜백함수는 Resolve와 Reject를 인자로 받는다.
new Promise((resolve, reject) => {})
콜백함수의 인자 resolve를 실행하면 이행상태가 되며, 프로미스의 메서드 then에서 그 값을 매개인자로 받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reject를 호출하면 실패 상태가 되며, then과 catch 메서드에서 reject의 값을 인자로 받을 수 있다. 즉, 분기에 따라 then(), catch()로 나뉘어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catch는 예제처럼 모든 then 메소드를 거치고 나서 작동하도록 마지막에 붙여준다.
const getDataFromFilePromise = filePath => {
return new Promise(resolve, reject) => {
fs.readFile(filePath, "utf8", (error, data) => {
if (error) reject (error); // catch 에서 error를 받을 수 있다.
else resolve(data); // then에서 data를 받을 수 있다.
})
}
}
getDataFromFilePromise(validPath).then((data) => console.log(data)); //Resolve의 값을 매개인자로 받는다.
getDataFromFilePromise(invalidPath).then().catch((error) => console.log(error)); // Reject의 값을 매개인자로 받는다. 프로미스의 오류는 catch로 받도록 하자.
프로미스의 주요한 특징이 하나 더 있다. 바로 여러 개의 프로미스를 사슬처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것. 이러한 방식을 프로미스 체이닝(Promise Chaining)이라고 한다. then() 메서드를 호출하면 새로운 프로미스 객체를 반환하는 것을 이용한 방법이다. 예제를 한 번 보도록 하자.
// 예제 1.
function readAllUserChaining() {
// 문자열 상태의 user1, user2를 객체로 변환하고 배열에 담아 반환하는 함수
return getDataFromFilePromise(user1Path)
.then(user1 => {
return getDataFromFilePromise(user2Path)
.then(user2 => "[" + user1 + "," + user2 + "]")
})
.then(text => JSON.parse(text))
}
// 예제 2.
function getNewsAndWeather() {
return fetch(newsURL)
.then(res => res.json())
.then(json1 => {
return fetch(weatherURL)
.then(res => res.json())
.then(json2 => {
return {
news: json1.data,
weather: json2,
}
})
})
}
단, then은 대기(Pending) 상태인 프로미스를 받아야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아래 예제의 첫 번째 사례와 같이 작성하면 이미 프로미스가 이행되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 1. 수정 전
function getData() {
const promise1 = getDatafromFilePromise(user1Path);
const promise2 = getDatafromFilePromise(user2Path);
return promise1
.then(user1 => {
return promise2.then(user2 => { // 이미 promise2가 이행된 상태이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
return "[" + user1 + "," + user2 + "]";
})
})
.then(text => JSON.parse(text))
}
// 2. 수정 후
function getData() {
return getDataFromFilePromise(user1Path)
.then(user1 => {
return getDataFromFilePromise(user2Path)
.then(user2 => return "[" + user1 + "," + user2 + "]";
})
})
.then(text => JSON.parse(text));
}
Promise.all() 메서드는 순회 가능한 객체를 매개인자로 받는다. 객체 안에 있는 모든 비동기 작업을 이행한 새로운 배열을 프로미스로 반환한다. 이 때, 인자로 받은 프로미스들은 병렬로 수행된다.
모든 프로미스들가 이행 상태가 되면 then, catch 등 메소드에 새로이 만든 배열 프로미스를 넘긴다. 만약, 하나라도 비동기 호출이 실패하다면 먼저 실패한 프로미스의 reject가 넘겨진다.
Promise.allSettled()는 Promise.all과 유사하다. 차이점은 내부 프로미스들 중 호출이 실패한 것이 있더라도, 이행된 프로미스들을 추려서 반환할 수 있다는 것이다.
// 예제 1.
function readAllUser() {
const user1 = getDataFromFilePromise(user1Path);
const user2 = getDataFromFilePromise(user2Path);
return Promise.all([user1, user2])
.then(arr => arr.map(data => JSON.parse(data)));
}
// 예제 2.
function getNewsAndWeatherAll() {
return Promise.all([fetch(newsURL), fetch(weatherURL)])
.then(([newsResponse, weatherResponse]) => {
return Promise.all([newsResponse.json(), weatherResponse.json()]);
})
.then(([json1, json2]) => {
return {
news: json1.data,
weather: json2,
}
})
}
3. async와 await
async와 await은 프로미스를 조금 더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안한 문법이다. 함수 앞에 async를 붙이면, 해당 함수는 항상 프로미스를 결과값으로 반환한다. 또한, 프로미스가 아닌 값을 반환하더라도 이행 상태의 프로미스로 반환되도록 한다.
await는 오직 async 함수 내부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는 await를 만나면 해당 프로미스가 처리될 때 까지 기다린다. 그 전까지 async 내부에 있는 이하의 코드는 실행되지 않는 것. 실제로 코드를 작성해보면 직관적이다.
// 예제 1.
const readAllUserAsyncAwait = async () => {
const result = [];
const data1 = await getDataFromFilePromise(user1Path);
const data2 = await getDataFromFilePromise(user2Path);
result.push(JSON.parse(data1));
result.push(JSON.parse(data2));
return result;
}
// 예제 2.
asnyc function getNewsAndWeatherAsync() {
const json1 = await fetch(newsURL).then(resp => resp.json());
const json2 = await fetch(weatherURL).then(resp => resp.json());
return {
news: json1.data,
weather: json2,
}
}
4. Reference
MDN - Promise
JAVASCRIPT.INFO - async와 await
자바스크립트 Promise 쉽게 이해하기
자바스크립트 async와 await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