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구조(Data Structure) - Stack, Queue

2 minute read

1. 스택(Stack)

스택은 마지막에 들어온 데이터가 먼저 나가는 LIFO(Last In First Out) 방식의 자료구조이다. 어떻게 스택을 사용할지에 따라 다르겠지만, 스택에 필요한 주요 속성과 메소드는 다음과 같다.

Stack.pop() 스택 최상단 데이터를 반환하고 제거하는 메소드.

Stack.push(element) 스택에 메모리를 생성하여 추가하는 메소드. this.top + 1에 추가한다.

Stack.empty() 스택이 비었는지 확인하는 메소드. 비었으면 1, 그렇지 않으면 0을 반환.

Stack.size() 스택의 총 요소 갯수를 반환하는 메소드.

Stack.peek() 가장 최상단 데이터를 반환하는 메소드.

Stack.top 가장 최상단 데이터를 나타내는 속성(Property)

스택을 처음 구현하려고 생각했을 때, storage 내부에 들어가는 키에는 값의 순번을 알 수 있는 속성을 담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pop, push를 수행할 때 자료구조를 순회하면서 데이터를 찾는 방법으로 구상했는데, 이 경우 시간복잡도가 $O(1)$이 아닌 $O(n)$ 이 된다. 이 문제는 같이 진행한 페어분의 도움을 받아 윤곽을 잡을 수 있었다. 스택은 다음과 같이 구현하였다.

class Stack {
  constructor() {
    this.storage = {};
    this.top = -1;
  }

  size() {
    return this.top + 1;
  }

  empty() {
    if (this.top === -1) {
      return 1;
    } else {
      return 0;
    }
  }

  peek() {
    if ( this.top === -1) {
      return undefined;
    } else {
      return this.storage[this.top + 1];
    }
  }

  push(el) {
    this.top += 1;
    this.storage[this.top] = el;
  }

  pop() {

    if (this.top === -1 ) {
      return undefined;
    }
    this.top -= 1;
    const tempObj = this.storage[this.top + 1];
    delete this.storage[this.top + 1];
    return tempObj;
  }
}

스택은 재귀함수의 실행에도 사용된다는 것을 알아두자. base case가 실행되기까지 콜스택에 함수가 쌓이게 된다. 이후 base case가 실행되면 역방향으로 함수가 실행되어 값을 반환하게 된다. 관련내용은 재귀함수 관련 TIL에서 정리하였으니 참고하도록 하자.

2. 큐(Queue)

큐는 선입선출 방식의 자료구조이다. 큐를 우리말로 옮기면 대기열이 되는데, 온라인 게임의 대기열이나 줄을 서는 방식과 흡사하다. 큐에 필요한 주요 속성과 메소드는 다음과 같다.

Queue.front 가장 처음에 들어간 데이터의 인덱스

Queue.rear 다음에 들어올 데이터의 인덱스( = 가장 마지막에 들어온 인덱스 + 1)

Queue.enqueue(el) (또는 put, insert) 큐의 가장 뒤에 새로운 데이터를 추가하는 메소드.

Queue.dequeue() (또는 get, delete)큐의 가장 앞에 위치한 데이터를 제거한 뒤 반환하는 메소드.

Queue.size() 큐의 현재 총 데이터 갯수를 반환하는 메소드.

선형 큐과 환형 큐로 구분할 수 있다. 큐의 구조상 자료를 입출입하는 과정에서 front 순번이 점차 뒤로 밀리게 된다. 선형 큐에서는 front의 앞칸을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는데, 이를 보완한 것이 환형 큐 방식이다.

스택과 마찬가지로 큐의 시간복잡도는 탐색이 $O(n)$이고 추가 및 삭제가 $O(1)$이다. 이를 고려해서 자바스크립트로 구현해보자.

class Queue {
    constructor() {
        this.storage = {};
        this.front = 0;
        this.rear = 0;
    }
    size() {
        if ( this.front === this.rear ) {
            return 0;
        }
        return this.rear - this.front;
    }
    
    enqueue(el) {
        if ( this.front === this.rear ) {
            this.storage[this.front] = el;
            this.rear += 1;
        } else {
            this.storage[this.rear] = el;
            this.rear += 1;
        }

    }

    dequeue() {
        if ( this.front === this.rear ) {
            return undefined;
        } else {
            const tempObj = this.storage[this.front];
            delete this.storage[this.front];
            this.front += 1;
            return tempObj;
        }
    }
}

Leave a comment